CMA와 MMF 매일 이자 받을수 있다
안녕하세요~
상식이 궁금한 '궁금한 상식이'입니다
경제 공부 좀 하려고 책을 들춰보면 돈을 매일 이자를 받을 수 있는 CMA 통장이나 MMF 통장을 개설해 가입을 하라는 내용을 보게 됩니다
사실 경제 상식 초보라서 예금과 적금의 차이점도 이제야 알았는데 CMA는 뭐고 MMF는 또 뭐람?
정말 매일 이자를 받을 수 있다면 안할 이유는 없다고 생각하는데 어떻게 가입을 하고 어떤 차이점이 있는지 알아보자
먼저 늘 그렇듯이 의미부터 살펴보자면 이렇다
CMA(Cash Management Account)
MMF(Money Market Fund)
금융상품은 이름이 중요한데, 그 이름에서 어느정도 성격이 보이기 때문이다
즉, 펀드와 계좌의 차이가 가장 기본적인 차이라고 할수 있다
먼저 CMA 살펴보자
*** CMA(Cash Management Account)
고객으로부터 예탁받은 금전을 어음 및 채무증서 등에 운용하고, 그 수익을 고객에게 지급하는 수시입출금이 가능한 금융상품을 말한다
하... 어렵도다~
쉽게 이해하자면 이렇다.
결국 고객이 입금한 돈으로 단기금융상품에 투자해 수익을 주는 상품이라고 생각하면 쉽습니다
종금사 또는 증권사에서 가입 가능하다. 은행에서 계좌를 만들수는 없다는 점 기억하자
확정이자 주는 상품가입하는 것이 유리하다. 약 연 1.6%이자
은행 입출금통장이 연 0.1%이니 이자를 원한다면 CMA통장이 유리하긴 하다
종금사CMA는 예금자 보호 5천만원까지 원금을 보장해 준다
하지만 증권사CMA는 예금자 보호가 되지 않기 때문에 예금보호를 원한다면 종금사 CMA가 좋다
그래서 초대형 증권사만 발행하고 판매할 수 있도록 승익해주고 있다
종류는 이렇다
RP형 - 확정금리
Repurchase Agreement 환매조건부채권
환매를 조건으로 걸고있는 채권
이채권을 구입하고 그 채권을 다시 그 채권을 사줄게 그 채권을 살때는 이자를 주는 것
발행어음 - 확정금리
증권사나 종금사에서 자금 조달을 위해 직접 발행하는 상품
종금형 - 확정금리
이번엔 MMF
*** MMF(Money Market Fund)
안정적인 채권에 투자해 만기 얼마안남은 국채 지방채 회사채에 투자해서 그 돈을 비려주고 거기서 나는 이자를 수익률로 고객에게 준다
확실하게 이자 받을 수 있는 곳에만 돈 빌려준다
대신 수익률 적다
손실이 날수 있을까? 있다!
부도가 나거나 채권 회수 안될수 있다면...
하지만 손실나기는 매우 어렵다
그렇다고 100%란 없으니까 원금 보장상품은 아니기 때문에 확실히란 없다
증권사, 은행에서 가입 가능하고, 은행에서 가입하면 입출금이 쉬워 편하다
3개월 수익률 0.4%정도, 연 수익률 약1% 수준
두 상품의 공통점
하루만 맡겨도 매일매일 이자가 쌓이는 수시 입출금 방식의 통장이다
고객이 입금한 돈으로 단기금융상품에 투자해 수익을 주는 상품이다
365일 24시간 입출금이 가능한 것이 아니다
대부분 오전 8시부터 오후5시까지 가능한데 본인이 가입한 증권사에 정확하게 알아보는 것이 정답이다
그래서 비상금으로 사용하기 좋지만 급할 때는 제한이 있어 불편할 수 있다
CMA든 MMF든 원금 보장은 되지 않는다
만약 원금 보장을 받고 싶다면(최대 5천만원까지) 종금사 CMA에 가입하면 된다
'생활속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예금과 적금이 차이점 뭐죠? (0) | 2020.07.15 |
---|---|
뉴딜(New Deal) 어떤 정책일까? (0) | 2020.07.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