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금과 적금이 어떻게 다른거죠?
안녕하세요~
상식이 궁금한 '궁금한 상식이'입니다
많이 들어서 익히 잘 알고 있는 것 같은데 실상은 잘 모르는 상식들.
저도 모르는것 투성이라 공부하며 포스팅하며 알아가고 있습니다
우리 부모님 세대는 예금과 적금 이유일한 재테크의 수단이었고, 돈은 은행에 두어야만 불릴수 있고 안전하다고 믿는 세대죠
그 영향으로 저도 그렇게 자랐고 돈은 있으면 쓰기전에 은행에 넣어 둬야할 것이라고 단정지으며 살았습니다
그런데 요즘 은행에 통장 개설을 하거나 적금을 넣으려고 해도 무슨 상품이 그렇게나 많은지... 금리가 어쩌고 복리이자가 어쩌고... 저는 힘들더라구요
그래서 아주 아주 기초가 되는 예금과 적금의 차이부터 알아봤습니다
*** 적금
매월 납입해 만기 시까지 유지 후 이자를 받는 금융상품.
적립식이고, 매월 납입액이 정해져 있어서 정기적으로 납입하는 상품입니다
그런데 납입액이 정해져 있지 않고 매월 상황에 맞춰 자유롭게 납입하는 상품이 있는데 그게 바로 자유적금입니다
우리나라 직장인들이 목돈 마련을 위해서 대표적으로 가장 많이 이용하게 되는게 바로 이 '적금'입니다
그럼 왜 목돈을 만들때 이 적금을 이용할까요?
그건 이자 때문인데요
각 적금 상품마다 받을 수 있는 이자가 각각 다릅니다
그래서 적금 상품을 가입하고자 한다면 이자를 따져보고 가입하는게 좋은 방법인거죠
여기서 상식 하나더!
적금 상품의 이자는 납입 이후부터 계산된다! 입니다
이것이 무슨 소리냐면?
매월 10만원 납입, 연 이율2%, 1년 만기 정기적금을 들었다고 가정한다면
우리는 만기 시 내가 받을 이자가 10만원*12개월*2% 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처음 납입한 10만원은 2%
그 다음달 납입한 10만원은 연 2%의 11/12.
그 다다음달 납입한 10만원은 연 2%의 10/12...
이런 식으로 납입 시점부터 이자가 계산된다는 점 알아두셔야 됩니다
*** 예금
금융기관에 돈을 맡기는 행위를 뜻하는 말이죠
보통예금 : 입출금통장 (흔히 쓰는 월급 통장이나 입출금이 자유로운 통장)
정기예금 : 이자를 주는 예금 (한번에 돈을 맡기고 만기때 맡긴 돈과 이자를 가져갈 수 있다)
내가 목돈이 있다면 정기예금을 들어서 이자를 받을 수 있습니다
그럼 여기서 퀴즈???
만약 이자를 똑같이 준다면, 적금과 예금 중 무엇이 이자를 더 많이 받을 수 있을까?
정답은 예금!!! 입니다
예를 들어 1,200만원을 은행에 예금으로 한번에 1년동안 넣어뒀다면
1200만원에 이자를 곱해서 원금+이자를 받을수 있고,
적금은 매달 100만원을 1년간 넣어서 1,200만원을 만든 것이라고 볼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똑같은 금리를 받더라도 예금보다 이자를 덜 받는 것이죠
그래서 적금 상품을 보면 이율이 예금보다 높습니다
그렇지만 높아봤자 적금은 예금보다 이자를 적게 받을 수 밖에 없죠
왜냐하면?
예금은 1,200만원에 대한 이자를 받는 것이고, 적금은 100만원, 200만원....의 이자를 받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정기예금,적금 둘다 중도해지하면 이자는 거의 이자를 못받는다는 것 잊지 마세요
입출금통장의 이자 정도밖에는 받을 수 없습니다
만약 내가 목돈이 없어 목돈을 만들고 싶다면 '적금'에 가입해 목돈을 만든 후에 예금이나 다른 상품에 가입하는게 일반적인 방법입니다
물론 잘 알고 계신 분들도 있겠지만 모르셨던 분이라면 도움되었으면 합니다
모두 부자되세요!
'생활속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CMA와 MMF 매일 이자 받을수 있다 (0) | 2020.07.15 |
---|---|
뉴딜(New Deal) 어떤 정책일까? (0) | 2020.07.14 |